조회수에 자아를 의탁하는 사람들 오늘날 특히 미국에서 젊은이들의 ' 노빠꾸 인생 ' 스턴트가 도를 지나치고 있다 . 아니 ' 선을 넘고 ' 있다 . 몇가지 예만 들어도 눈살 찌푸려지고 탄식 나오게 만들기는 충분하다 . 수직으로 점프한 사람의 다리를 양 옆에 서 있던 두 사람이 걷어차서 공중제비를 돌게 만드는 ' 대가리 깨기 챌린지 '(Skullbreaker challenge), 콘센트에 플러그를 느슨하게 꽂고 접속부위에 동전을 갖다대는 ' 콘센트 챌린지 '(Outlet challenge), 캡슐형 세탁 세제를 입 안에 넣고 터뜨리는 ' 타이드 팟 챌린지 '(Tide Pod challenge), 공중화장실 좌변기 시트를 혀로 핥는 ' 코로나 챌린지 '(Corona challenge) 등 , 조회수는 올리면서 인간 지능의 바닥은 내리는 관심종자 ( 이하 관종 ) 들의 망동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상상을 음산하게 만든다 . 그러면서도 조회수 자체가 경제적 가치로 치환될 수 있는 경제 체제가 확립되어감에 따라 관종이라는 말은 더 이상 부정적인 멸칭이 아니라 하나의 미덕과 같은 것이 되고 있다 . 자연히 ' 나쁜 관종 ' 과 ' 좋은 관종 ' 을 구별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온다 . 임홍택 작가의 < 관종의 조건 > 이 대표적이다 . 임홍택은 <90 년생이 온다 > 라는 책으로 일약 스타 작가가 되었다 . 나는 처음에 <90 년생이 온다 > 라는 제목을 보고 당연히 사회학 저서일 것이라 생각했다 . 이를테면 386 세대의 2 세들이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하는데 8-90 년대와는 전혀 다른 사회적 , 문화적 조건들 아래서도 이전 세대와 대동소이하게 격무에 시달리면서 그럼에도 임금노동만으로는 개인의 영달은 언감생심인바 빚을 내면서까지 주식에 투자하고 이른바 ‘ 일상의 금융화 ’ 의 의인화된 표상의 집단으로 떠오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