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리스트 만들고 S에서 D까지 등급을 매길 만큼은 미국 시트콤을 충분히 봤다고 생각하여 글로 정리해본다. 모두 최소 1시즌 이상은 본 것들이다. F를 매길 정도로 형편 없는 것들은 아예 안 보거나 한두 편 보고 끝냈기 때문에 평가를 할 수가 없다. 말인즉 여기서 평가가 박해도 어느 정도 재미는 보장한다. S: Arrested Development (못말리는 패밀리) (2003~2006, 2013, 2018) 살면서 본 것 중에 제일 웃기다. 애니메이션 Bojack Horseman을 너무 재밌게 봐서 목소리 연기를 한 윌 아넷의 대표작을 안 볼 수 없었는데 정말 보기를 잘했다. 시즌 3까지 나오고 캔슬됐다가 2012년에 넷플릭스가 부활시켜서 시즌 5까지 나왔다. 넷플릭스 한국 계정으로는 볼 수가 없고 다른 데서도 도저히 볼 방법이 없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시즌 4부터는 노잼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라는 것이다. 어쨌건 시즌 3까지는 기념비적으로 웃기다. 부동산 재벌 일가가 사기죄에 연루되고 어떻게든 위기를 모면하려 하는 이야기다. 매 회 3~4개의 서브플롯이 전개된다. 처음에는 관계 없는 일이었다가 일이 진행되면서 서로 한 데 꼬이면서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우스꽝스러운 방식으로 충돌하여 터져버리는데 이때 정말 배꼽 잡는다. A: Community (커뮤니티) (2009~2015) 도널드 글로버, 켄 정의 출세작이다. 이것도 재밌게 본 애니메이션을 계기로 보게 된 것. Rick & Morty의 작가 댄 하먼이 만들었다고 해서 봤다. 릭 앤 모티를 본 사람은 동의할 텐데, 평소에 미국의 상업영화, 가요, 드라마, 코믹스 등 팝컬처에 이렇다 할 취미가 없이 보면 재미가 많이 반감된다. 커뮤니티가 특히 그렇다. 모든 에피소드가 패러디와 오마주, 패러디의 패러디다. 잘 나가던 변호사였다가 학위 위조가 드러나 다시 학위를 받기 위해 2년제 대학(커뮤니티 컬리지)에 들어간 제프 윙어(조엘 맥헤일)라는 사람의 이야기지만 진짜 주인공은 그와 함께 스터디그룹에
조회수에 자아를 의탁하는 사람들 오늘날 특히 미국에서 젊은이들의 ' 노빠꾸 인생 ' 스턴트가 도를 지나치고 있다 . 아니 ' 선을 넘고 ' 있다 . 몇가지 예만 들어도 눈살 찌푸려지고 탄식 나오게 만들기는 충분하다 . 수직으로 점프한 사람의 다리를 양 옆에 서 있던 두 사람이 걷어차서 공중제비를 돌게 만드는 ' 대가리 깨기 챌린지 '(Skullbreaker challenge), 콘센트에 플러그를 느슨하게 꽂고 접속부위에 동전을 갖다대는 ' 콘센트 챌린지 '(Outlet challenge), 캡슐형 세탁 세제를 입 안에 넣고 터뜨리는 ' 타이드 팟 챌린지 '(Tide Pod challenge), 공중화장실 좌변기 시트를 혀로 핥는 ' 코로나 챌린지 '(Corona challenge) 등 , 조회수는 올리면서 인간 지능의 바닥은 내리는 관심종자 ( 이하 관종 ) 들의 망동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상상을 음산하게 만든다 . 그러면서도 조회수 자체가 경제적 가치로 치환될 수 있는 경제 체제가 확립되어감에 따라 관종이라는 말은 더 이상 부정적인 멸칭이 아니라 하나의 미덕과 같은 것이 되고 있다 . 자연히 ' 나쁜 관종 ' 과 ' 좋은 관종 ' 을 구별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온다 . 임홍택 작가의 < 관종의 조건 > 이 대표적이다 . 임홍택은 <90 년생이 온다 > 라는 책으로 일약 스타 작가가 되었다 . 나는 처음에 <90 년생이 온다 > 라는 제목을 보고 당연히 사회학 저서일 것이라 생각했다 . 이를테면 386 세대의 2 세들이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하는데 8-90 년대와는 전혀 다른 사회적 , 문화적 조건들 아래서도 이전 세대와 대동소이하게 격무에 시달리면서 그럼에도 임금노동만으로는 개인의 영달은 언감생심인바 빚을 내면서까지 주식에 투자하고 이른바 ‘ 일상의 금융화 ’ 의 의인화된 표상의 집단으로 떠오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