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탈구의 계기가 바로 지금이 아닐까 생각한다 . 지금까지 갖고 있었던 사고 체계 , 문제틀로는 현재 맞닥뜨린 문제를 제대로 사고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탈구라고 한다고 한다 . 내가 3 년 전부터 말하고 다니던 게 있는데 한국사회가 최하점을 찍고 반등하고 있다면 서구사회는 정점을 찍고 내려가고 있다는 것이다 . 탄핵과 민주당 집권에 감개무량해서 오바한 감도 없지 않지만 지금 서구를 보고 멀쩡하다고 할 사람은 없을 것 같다 . 미국과 서유럽 중심부 국가들 모두 싸잡아도 별 무리는 없을 것 같다 . 아무리 저 밑에 있더라도 천천히 새로운 합의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비해 기존의 합의들이 하나둘씩 깨지는 과정에 훨씬 더한 혼란이 불가피하게 따른다고 생각한다 . 하나둘씩 깨지는 기존의 합의들 중 하나는 자유주의이다 . 코로나바이러스의 한국 모델은 서구 국가들이 따라 하기 아주 어려울 것이다 . 국가가 공무원들을 대대적으로 동원할 헤게모니가 없고 노동력 갈아 넣기 문화는 말할 것도 없고 확진자 동선을 낱낱이 밝히는 데 대해 상당한 저항이 예상된다 . 그러나 동시에 사람들 죽어 가는데 사생활이니 인권이니 따위가 중요하냐는 반응들이 하나둘씩 나오리라는 것도 충분히 예상 가능하다 . 제조업의 해외 아웃소싱에 대한 문제제기도 인민들 사이에서 안 나올 수가 없겠고 국가의 권한이 더 커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 인권이 밥 먹여줍니까 ? 야만으로만 치부하고 넘길 발언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 The last global crisis didn't change the world. But this one could. by William Davies. <The Guardian> 2020.3.24 번역 위기 crisis 는 결정 , 판단을 뜻하는 희랍어 ‘krisis’ 에서 나왔다 . 여기서 비평가 critic( 판단하는 사람 ), 치명적 critical 이라는 말도 나온 것이다 . 위기는 좋게 혹은 나쁘게 종결될 수 있지만 핵심은 그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