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쏘고 윤석열 받은 ‘멸치와 콩’, 왜 스테디셀러 못 됐나 [한겨레S] 김내훈의 속도조절 멸콩챌린지와 개 호루라기 정이 쏘고 윤이 받았던 해시태그 특정그룹 동원하는 ‘개호각’ 기능 나경원 등이 공개 캠페인 나서자 호각 기능 멈추고 소음으로 끝나 수정 2022-02-05 06:59 등록 2022-02-05 06:59 2022년 1월8일 국민의힘이 공개한 윤석열 대선 후보의 장보기 사진. 윤 후보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멸치’ ‘#콩’ 등의 해시태그를 달아 ‘멸공’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제공 ☞뉴스레터 공짜 구독하기 https://bit.ly/319DiiE 올해 1월 초, 때아닌 ‘멸공’ 논란으로 한국 사회가 들썩였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니 저 ‘때아닌’이라는 말이라는 것도 때아닌 말이 되어버린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래전 정치 후진국 시절 북풍, 색깔론 등 온갖 추한 형태의 정치를 목격했던 사람들이 보기에 ‘종북’보다도 오래된 멸공이라는 말이 지금 정치인들의 입에 올려지는 일 자체가 불쾌한 기시감이 들게 만드는 것일 테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에 태어나 저 구시대의 유물과 같은 단어를 전혀 접하지 못한 채 성장한 사람들에게는 멸공이 오히려 새롭고 신선한 정부 여당 공격의 레토릭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겠다. 그다지 특별할 것도 없어 보이는 간단한 단어 하나에 여당 인사들이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보고 왠지 미운 상대의 아픈 곳을 한대 더 때리는 것 같은 즐거움을 느꼈을 테다. ‘멸콩’은 왜 더 이어지지 못했나 멸공 논란을 쏘아 올렸던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공개사과를 하면서 짧은 소동이 일단락된 형국에 다시 이 이야기를 꺼내는 건 당연히 뒷북치는 일이다. 여기서는 뒷북이기에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마트에서 멸치와 콩을 사고 소셜미디어에 해시태그로 #멸치와 #콩을 쓰는 해시태그 릴레이 혹은 챌린지가 왜 길게 이어지지 못했는가에 관한 생각이다. 인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