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창작과비평 196호 <그런 세대는 없다> 촌평. 누가 왜 자꾸 그런 세대가 있다고 우기는가

  나는 386 세대 (‘586’, ‘n86’ 보다는 처음 나온 용어인 ‘386’ 을 선호한다 ) 에 대한 악감정이 없다 . 오히려 나는 우리 모두가 그들의 정치 운동의 유산에 빚을 지고 있으며 , 특히 386 의 학문 후속세대는 그들이 일궈놓은 거인의 어깨에 서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 386 세대가 과거 기득권에 저항하다가 기성세대로 성장하고 기득권이 되어 청년들을 착취하고 있다는 명제가 일부 사실이라고 할지라도 , 386 세대 전체를 한국사회의 모든 병폐가 의인화된 집단으로 폄훼해버리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 저 명제에서 386 이라는 것이 가리키는 대상이 무엇인지 전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 그런 세대는 없다 > 에서 이른바 ‘386 세대의 독식 ’ 과 그 때문에 ‘ 미래를 박탈당하는 청년세대 ’ 라는 구도를 생산하는 담론의 허구성을 드러낸다 . 그에 따르면 세대 간의 체계적인 불평등이 있어 386 세대가 ‘ 양보 ’ 를 해야만 많은 사회적 병폐가 해소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 세대 선정주의 ’ 에 불과하다 . 그 선정적인 허구성은 저자가 인용하는 다음의 조사결과만으로도 여실히 드러난다 . 한국의 34 세 이하 청년들 사이에서 386 이나 586 이라는 용어 자체를 잘 모른다고 대답한 사람이 44% 가 된다는 것이다 . 그러면서 386 세대가 ‘ 한국사회의 기득권 세력이다 ’ 라는 문항에 80% 가 동의했다고 한다 . 386 세대에게 ‘ 갑질 ’ 을 당하고 그들에 대해 강한 원한을 갖고 있다고 말해지는 청년들 상당수가 386 이라는 게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지 , 그 유래도 알지 못하면서 마치 오래전부터 그 의미와 용례를 잘 알고 써왔던 것처럼 잔뜩 거론하기 시작한 것은 확실히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다 . 386 이라는 말의 용례에는 정치사적인 맥락이 있다 . 1980 년대 대학생 신분으로 민주화운동과 사회운동에 앞장섰던 운동가 , 이론가들 상당수가 1990 년대 말에...

전북문화저널 2022년 3월

  전북문화저널 원고 김내훈   대통령 선거를 치른 후 아직 한 달도 지나지 않았다 . 그런데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석열 당선자의 국정 수행 긍정 전망이 50% 가 채 되지 않는다 . 박근혜조차도 당선 직후 긍정 전망치가 64% 가 나왔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충격적인 수치다 . 이것은 윤석열 당선자에게 투표한 사람들조차 처음부터 아무런 기대를 하지 않고 투표를 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기대를 안 하는 것을 넘어 벌써 후회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 그렇다면 도대체 왜 잘하리라는 기대도 염원도 없이 2 번 후보를 찍은 것인가 ? 60% 가까이 윤석열 후보를 선택한 20 대 남성 유권자 대다수는 정권 교체와 이준석 대표 등의 반페미니즘 행보에 동의하는 것을 선택의 이유로 꼽았다 . 나는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한 92 년생 남성인 한 친구에게 물었다 . 그의 대답은 나름 신선했다 . ‘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 라는 것이었다 . 민주당이 총선에서 압승했으니 민주당의 폭주를 막기 위해 정권이 교체되어야 하고 , 윤석열 당선자와 국민의힘은 의석수에서 크게 밀리기 때문에 균형 잡힌 국정 운영을 할 것이라는 믿음이었다 . 반페미니즘 , 여성가족부 폐지 따위 운운하는 것에 비하면 나름 합리적으로도 보인다 .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이 친구의 논리야말로 이 모든 비극의 원흉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 그 원흉이란 사회와 정부와 국가를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 물론 각 주제에 대해서 제대로 이야기하려면 단행본 수십 권은 필요할 테지만 그러한 높은 수준의 이해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 다만 사회와 정부 ( 정치 ) 와 국가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아주 기초적인 구별이 안 된 탓에 오늘의 선거 비극이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 먼저 정부와 국가를 비교하자면 , 국가가 더 큰 범주의 개념이라는 것은 아주 조금이라도 생각하는 시간을 투자한다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전혀 어렵지 않다 . 현 지배계급의 이해관계에 복무하...

2021년 9월 지능정보윤리 이슈리포트 '관종의 세계'

  지능정보윤리 이슈리포트 김내훈 관종의 세계   미국에서 ‘ 우유 상자 챌린지 ’(milk crate challenge) 라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우유 상자를 계단식 탑처럼 쌓아놓고 중앙 가장 높은 곳까지 걸어 올랐다가 내려가는 모습을 촬영하는 짧은 영상이다 . 우유 상자가 튼튼하지 않은 탓에 굉장히 위태롭다 . 열에 아홉은 중앙까지는 어떻게든 오르더라도 내려가다가 머리부터 고꾸라진다 . 전신마비에서 사망까지 우려되는 일이라 끝까지 볼 엄두조차 나지 않는다 . “ 도대체 왜 저러는 거야 ” 라는 말만 속으로 되새기게 된다 . 더 우려스러운 것은 우유 상자 챌린지 영상을 혼자가 아니라 친구들과 여럿이서 촬영한다는 점이다 . 위험천만하게 상자를 오르는 사람을 응원하는데 , 오르다가 넘어지면 누구 하나 걱정하는 사람 없이 그를 둘러싸고 깔깔 웃는다 . 챌린지를 제대로 해내지 못하면 비웃음당해 마땅하다는 듯이 말이다 . 심지어 옆에서 구경하던 사람이 우유 상자를 차버려서 상자에 오르던 사람을 위험에 빠뜨리는 경우도 더러 있다 . 단지 웃음 때문에다 . 성공하면 영상이 아무래도 심심해질 터이다 . 아마 곧 본사로부터 삭제 조치 되겠지만 , 유튜브에 ‘milk crate challenge’ 를 검색해보면 우스꽝스럽게 고꾸라지는 것을 넘어 크게 다쳐 유혈이 낭자한 장면이나 아예 즉석에서 사망한 장면만 모아서 편집한 ‘ 사망 모음집 ’(death edition) 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 댓글난에는 ‘ 별로 충격적이지도 않다 . 멍청이들이 멍청한 짓 하다 죽은 것뿐이다 .’ 라며 조롱하는 반응으로 가득하다 . 이외에도 경악스럽고 위험천만한 챌린지가 유행한 바 있다 . 수직으로 뛰어오른 사람의 종아리를 양옆에 선 두 사람이 걷어차서 공중제비를 돌게 만드는 ‘ 대가리 깨기 챌린지 ’(skullbreaker challenge), 콘센트에 플러그를 느슨하게 꽂은 뒤 동전을 갖다 대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 콘센트 챌린지...